close

생산공정솔루션

Process Solution

생산공정솔루션

Process Solution

생산공정 여과에 대한 소개

㈜비브이에스코리아는 생산공정필터 전문기업으로써 최고품질의 생산공정필터를 해외의 파트너사와 협력하여 국내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생산공정필터 제품군은 생산공정의 Upstream에서 많은 입자를 제거할 수 있는 Lenticular 모듈형 심층필터,Sheet형 심층필터, Downstream 공정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프리필터 및 제균등급 카트리지,캡슐필터, 공기정화 목적의 콤프레샤 에어필터,백필터, 필터시스템의 주변장치인 필터하우징 및 필터완전성,실험실 단계에서 생산공정으로 Scale-up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테스트 캡슐필터들이 있습니다. 해외파트너사와의 검증프로그램(Validation Service)에 대한 깊은 협력을 통하여 합리적인 가격으로 고객이 생산하는 제품으로 Bacteria Challenge Test, Extractable & Leachable Test, Product Adsorption Test,Product Integrity Test을 제공합니다.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의 니즈를 신속한 응대로 해결합니다

최고 품질의 생산공정필터 생산을 위한 품질관리

높은 수준의 노하우

㈜비브이에스코리아는 해외 파트사와 협력하고 있으며 파트너사들은 필터재료개발, 소수성 및 친수성 필터 개발기술,멤브레인원단 표면 코팅테크놀로지 및 기타 혁신적인 기술에 대한 높은 수준의 노하우를 가지고 있습니다.

높은 수준의 생산공정필터 생산 기술에는 다중 캐비티 인서트 및 오버 몰딩, Pleating, 포팅 및 저압축 사출, 고속 자동 조립, 초음파, 열 및 고주파 용접, 레이저 절단/용접 ,인몰드 기술, 사출 성형과 로봇 조립을 성형 도구 내에서 모두 결합하는 혁신적인 제조 기술 등이 있으며 주요제품은 클린룸 환경에서 제조됩니다.

철저한 품질관리

㈜비브이에스코리아의 해외 파트너사들은 ISO 9001 및 UNI EN ISO 14001:2004 인증을 획득하여 생산공정필터 생산에 Zero Defect에 도전을 하고 있습니다

R&D 투자

㈜비브이에스코리아의 해외 파트너사들은 혁신적인 R&D 투자를 통해서 선진화된 장비, 설비,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국제적인 학술기관과 긴밀히 협력하여 많은 연구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생산공정필터 제품군

㈜비브이에스코리아의 생산공정필터 제품군에는 카트리지형과 캡슐형 정화,프리 및 제균필터,심층필터(Depth Filter)형 모듈 및 Sheet필터,정밀화학물질 여과용 케미컬 카트리지 및 캡슐형 필터가 주요 제품군이 있으며 기타 제품군으로는 콤프레샤 에어필터,백필터 및 UF필터가 있습니다.

카트리지필터(Cartridge Filter)

제균필터, 입자제거 필터, Stack 필터, 멤브레인 필터, Surface 필터, Depth 필터

캡슐필터(Capsule Filter)

제균필터, 입자제거 필터, 멤브레인 필터, Surface 필터, Depth 필터

모듈필터(Lenticular Module Depth Filter)

12” 모듈필터,16"모듈필터

Sheet필터(Lenticular Module Depth Filter)

100 x 100mm,400mm x 400mm,200mx 200m Sheet 필터, 고개맞춤형 주문제작

케미컬필터(Semiconductor Chemical Filter)

CMP 슬러리필터, Photoresist필터

UF필터(Ultrafiltration Filter)

Hollow Fiber UF필터, Cassette UF 필터

백필터(Filter Bag)

Reverse Air Filter Bag, Pulse Jet filter Bag

필터하우징(Filter Housing)

Single Round 필터 하우징, Multi Round 필터 하우징, 에어 필터 하우징, 용액 필터 하우징, Stack 필터 하우징

필터완전성실험장비(Integrity Tester)

Integrity test 및 주변 장치

필터발리데이션(Filter Validation)

Bacteria Challenge Test, Extractable Test, Leachable Test, Product Integrity test

생산공정용 필터의 원리 및 종류

생산공정필터 적합한 선정을 위해서는 첫번째로 여과매체의 특성을 알아야 합니다. 여과매체의 농도,점도,여과온도 및 제거물질종류 등이 있습니다. 두번째로는 생산공정조건을 알아야 합니다. 차압,유속,여과방법(Batch or Continuous)등이 있습니다. 세번째로는 적용되는 규정(Regulation)을 알아야 합니다. 필터검증,필터완전성테스트(Integrity Testing),Bacteria Challenge Test등이 있습니다.

필터에 대한 기본이론을 이해한다면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공정상에서 필터문제를 좀더 쉽게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정개선 및 신공정에서 적당한 필터 선정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필터의 특성에 따른 분류

필터의 특성에는 필터에 사용되는 멤브레인의 형상,제거효율,제균여부,생산공정에서 필터의 위치,입자가 포획되는 멤브레인의 위치,여과방법,여과매체,입자크기등이 있습니다. 이와 같은 필터특성을 고려하여 아래와 같이 분류를 하였습니다.

필터의 형태 및 기공구조에 따른 분류

필터 멤브레인은 형태에 따라서 Solid 멤브레인과 Liquid 멤브레인으로 분류됩니다. 생산공정에서는 주로 Solid 멤브레인으로 제작된 filter을 사용하는데 기공의 사이즈가 멤브레인 상단부와 하단부가 동일한 대칭형(Symmetric/Isotropic) 멤브레인과 멤브레인표면에 얇음 필름과 다공성 폴리머가 결합되어 표면은 미세한 공극이 있으며 내부는 넓은 Finger 형공간을 형성하여 높은제거율과 유속을 가진 비대칭형(Asymmetric/Anisotropic) 멤브레인으로 분류합니다. 대칭형(Symmetric/Isotropic) 멤브레인은 멤브레인에 많은 동일 기공들이 존재하는 다공성(Porous) 멤브레인, 기공이 없는 무다공성(Nonporous) 멤브레인과 전하를 띠는 멤브레인으로 분류합니다. Composite 멤브레인은 비대칭형(Asymmetric) 멤브레인과 유사하나 다공성(Porous) 멤브레인의 위부분에 무다공성(Nonporous) 막이 있어서 마치 비대칭형(Asymmetric) 멤브레인과 유사한 여과 기능을 가집니다.

필터의 입자 제거율에 따른 분류

필터의 입자제거효율(Retention Efficiency)는 Monodisperse Polystyrene Latex(PSL)입자를 필터에 투입하여 결정을 합니다. 제거효율의 정도에 따라서 PSL입자를 99.98%이상을 제거하는 필터는 Absolute필터로 분류하며 99.98%이라로 제거하는 필터를 Nominal필터라고 합니다. 필터제거효율(Retention Efficiency)에 대한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Better ratio(Bx)=Nu/Nd

Removal efficiency=(Bx-1/Bx)x100

Beta ratio : 입자제거율
Removal efficiency : 입자제거 효율
Nu : 필터에 투입되는 입자의 누적 수
Nd : 필터를 통해 다운스트림으로 나오는 입자의 누적 수

필터의 제균등급(Sterilizing grade)은 균의 종류 중에 가장 작은 균인 B.diminuta균을 멤브레인의 면적 1cm2당 1x107CFU로 투입해서 필터의 다운스트림에 B.diminuta균이 전혀 나오지 않을때 즉 Log Reduction Value가 7이상일때 제균등급(Sterilizing grade)필터라고 합니다. 이와 같은 파괴테스트(Destructive test)은 필터 생산자가 필터 생산시에 진행을 하거나 사용자가 공정변경 및 필터를 타 메이커 또는 다른 필터 종류로 교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였을 시에 필요에 의해서 파괴실험(Destructive test)을 진행을 합니다. 파괴실험(Destructive test)을 실시하는 경우에 필터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제약공정에서 생산을 위해서 필터를 사용하기 전에 비파괴 테스트인 필터 완전성 실험(Filter Integrity test)을 수행하여 필터의 완전성과 제균 유지여부를 확인합니다. 필터의 제균등급에 대한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Tr=Total number of organism influent to the filter
Number of colonies recorded on the downstream analysis disc
Tr : Titer reduction

필터의 입자제거 위치에 따른 분류

필터의 입자제거 위치에 따라서 Depth 필터, Surface 필터 및 Membrane 필터로 분류합니다. Depth 필터는 압축된 여러 layer 또는 단일 layer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염원을 필터 메디아 내에서 잡아줍니다. 반면 Surface 필터는 입자 사이즈와 동일한 필터 메디아의 두께에 의해서 입자를 잡습니다. Membrane 필터는 기공 사이즈 보다 큰 입자 또는 균을 멤브레인의 표면에서 잡습니다.

필터의 위치에 따른 분류

필터의 위치에 따라서 Clarification 필터, Pre 필터 및 Final 필터로 분류합니다. Clarification 필터는 Depth 메디아로 제작된 필터로써 고가인 Final 필터를 보호하기 위하여 큰 입자 제거용으로 사용하며 보통 Nominal 필터이며 Pre 필터는 Clarification 필터 다음에 위치하여 Surface 필터라고도 하며 보통 Absolute 필터이며 아주 작은 입자를 99.98%이상 제거함으로써 고가인 Final 필터를 보호합니다. 제약산업에서는 Final 필터를 제균등급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액에 존재하는 모든 균을 제거하여 주사제를 만듭니다.

필터의 유체 흐름 방향에 따른 분류

필터의 유체 흐름 방향에 따라서 Dead-end flow 필터와 Tangential flow 필터로 분류합니다. Dead-end flow 필터는 유체가 멤브레인 막 기준 수직으로 들어가서 멤브레인 표면 및 내부에서 입자 및 균이 잡히고 유체는 멤브레인을 통과합니다. 이에 따라서 일정 여과시간 이후에는 필터가 막혀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주로 카트리지필터, 캡슐필터, Module 필터 등이 이와 같은 유제 흐름을 이용하여 여과를 합니다. 반면 Tangential flow 필터는 유제가 멤브레인 표면 수평으로 흘러 생긴 압력으로 멤브레인 막을 통해서 유체가 여과되는 원리이며 멤브레인의 표면으로 유체가 흐르기 때문에 입자들이 멤브레인에 축적되지 않고 수평으로 흘러서 멤브레인 막이 막히지 않기 때문에 여러 번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주로 RO 및 UF의 멤브레인 등이 이와 같은 유체의 흐름으로 여과 및 농축을 합니다.

필터모양에 따른 분류

필터의 형태에 따라서 디스크,카트리지,캡슐,Lenticular,stack,Hollow Fiber 및 기타형 필터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각의 형태에 따라서 실험실,생산공정,정수 및 기타의 산업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tel email naver store kakao blog blog top